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63 [Spring] 컴포넌트 스캔 - @Component, @ComponentScan 사용하기 이전까지는 설정 클래스에서 수동으로 빈 객체를 등록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배웠다. 이번 포스트에서는 @Component와 @ComponentScan 애노테이션을 사용하여 스프링이 스캔할 대상을 설정하고 자동으로 빈을 등록하는 컴포넌트 스캔 기능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. @Component 애노테이션을 이용한 컴포넌트 스캔 컴포넌트 스캔은 스프링이 직접 클래스를 검색해서 빈으로 등록해주는 기능이다. 따라서 설정 클래스에 별도로 빈으로 등록하지 않아도 된다. 즉 설정 클래스 코드가 크게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. 클래스에 @Component 애노테이션을 붙이면 스프링이 검색해서 빈으로 등록할 수 있다. 해당 클래스를 스캔 대상으로 표시하는 것이다. @Component public class ExDao { ... }.. 2021. 8. 2. [Spring] 의존 자동 주입(3) - @Autowired의 필수 여부, 자동 주입과 명시적 의존 주입 @Autowired를 통해 자동 의존 주입을 할 때, 반드시 빈이 필요한 게 아니라서 존재하지 않을 때 익셉션을 발생시키기보다는 다른 처리가 가능하도록 해줄 필요가 있을 수 있다. 필수적으로 빈 객체가 있어야 하는지, 그렇지 않다면 어떻게 처리를 할 수 있는지 알아보자. 의존 자동 주입 기능의 특성 @Autowired 애노테이션을 이용하면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적합한 빈 객체를 찾아 자동적으로 의존을 주입해준다. 이전 포스트에서, 자동 주입 대상이 된 빈 객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익셉션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. 그렇다면 자동 주입 기능을 사용하지만 빈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따로 처리해주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? 그리고 자동 주입과 명시적 의존 주입이 동시에 일어나면 어떻게 될까? @Autowi.. 2021. 7. 31. [Spring] 의존 자동 주입(2) - 빈 이름과 한정사 스프링에서는 @Autowired 애노테이션을 통해 의존 객체를 자동 주입할 수 있다. 자동 주입할 빈 객체가 존재하지 않거나 하나로 한정되지 않는 경우에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알아보자. 또한 이런 에러가 발생하면 어떤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을지 알아보자. 의존 자동 주입 시 빈 객체를 한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어떻게 될까? [Spring] 의존 자동 주입(1) - @Autowired 애노테이션 이전 포스트에서는 설정 클래스에서 생성자 또는 setter 메서드를 통한 의존 주입 방법을 알아보았다. 이번에는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@Autowired 애노테이션을 이용하여 의존 객체 dct-wonjung.tistory.com 이전 포스트에서 @Autowired 애노테이션을 필드 또는 메서드에 붙여서 의존 객체를.. 2021. 7. 31. [Spring] 의존 자동 주입(1) - @Autowired 애노테이션 이전 포스트에서는 설정 클래스에서 생성자 또는 setter 메서드를 통한 의존 주입 방법을 알아보았다. 이번에는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@Autowired 애노테이션을 이용하여 의존 객체를 자동으로 주입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. 스프링의 @Autowired Annotation을 이용한 빈 객체 의존 자동 주입 의존 대상을 설정 코드에서 직접 주입하지 않고 스프링이 자동적으로 의존하는 빈 객체를 주입하는 것을 자동 주입이라고 한다. 스프링에서 의존 자동 주입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@Autowired 애노테이션을 사용한다. 다른 애노테이션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여기서는 @Autowired에 대해서만 알아보겠다. 자동 주입 기능을 이용하면 설정에 의존 객체를 명시하지 않아도 스프링이 알아서 필요한 의.. 2021. 7. 30. 이전 1 ··· 30 31 32 33 34 35 36 ··· 41 다음 반응형